웹 개발 (Front & Back-End)
AWS에서 웹 서버 호스팅하기 #4
택형
2022. 1. 20. 00:14
1. VM 할당 받기2. 서버 접속하기3. 웹 서버 호스팅하기
4. 도메인 설정하기(DNS)
5. https 설정하기
네이버, 구글 홈페이지에 접속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인터넷 창을 열고 www.naver.com, www.google.com이라고 입력한다.
여기서 naver.com, google.com 등을 도메인 주소라고 부른다.
우리가 만든 홈페이지 접속할 때에도 123.456.789.000 과 같은 IP 주소가 아닌 도메인 주소를 설정해주어야
홈페이지의 접근성이 좋아질 수 있다.
Route 53에 접속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사용가능한지 확인한다.
(AWS가 아니라 가비아 같은 별도 DNS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해도 되지만 Route 53을 통해 도메인을 할당받는게 여러모로 편한다.)
장바구니 추가 후 정보를 입력하면 주문 페이지에 올 수 있다.
초기 구매 기간 및 자동 갱신 여부 등을 설정 후 주문을 완료한다
결제를 완료하면 일정 시간 후 승인이 되고 대시 보드 상에 구매한 도메인 정보가 뜨게 된다.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 이름을 클릭하고 레코드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레코드 이름을 비울 경우에는 1차 도메인 만을 사용한다는 의미이고, 값을 입력하면 2차 도메인을 사용하게 된다.
(예. 1차 도메인: www.naver.com 2차 도메인: www.mail.naver.com)
값에는 웹 서버의 공인 IP 주소를 입력해준다.
레코드를 생성하고 나면 인터넷 주소 창에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접속할 수 있게 된다.